본문 바로가기
Amakuru:부룬디통신

부룬디, 이젠 입에 풀칠하기도 지겹다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11. 24.

Amakuru는 키룬디어로 '뉴스, 소식'이란 뜻이랍니다.

[Amakuru:부룬디통신]에서는 

부룬디와 관련된 뉴스거리들을 번역하여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D

 


 

 

부룬디, 이젠 입에 풀칠하기도 지겹다

 

 

2014년도 세계기아지수(GHI)조사 결과,

부룬디는'매우 심각(extremely alarming)' 판정을 받았다

 

국제식량정책연구기관(IFPRI) 따르면 부룬디의 기아 수준은 매우 심각한 단계'에 있다. 그런데도 최근에 부룬디 정부는 농업 부문에 지원할 9억에 달하는 예산을 철회했다. 응당 의구심이 드는 대목이다.

IFPRI 기아 수준 평가에는 가지의 요인들이 골고루 고려된다. 전체 인구 대비 영양실조에 걸린 인구의 비중과 전체 인구에서 미달체중인 5세 이하의 어린이가 차지하는 비중 그리고 5세 이하 어린이의 치사율이 바로 그 세 가지의 요인들이다. 한 사람당 하루 평균 섭취량을 1600 Kcal으로 보았을 때, 부룬디는 조사 대상 국가 중 가장 낮은 성적을 기록했다. 미량영양소 결핍증은 부룬디 내에서 심각한 건강 위험으로 여겨진다. 최근 2010년 EDS의 건강 인구 통계학적 조사에 따르면 5세 이하의 부룬디 어린이들 중 45%가 빈혈 증세를 보인다고 한다.

또한 최근에 세계식량기구(WFP) 2014 5월에 실행한 세계 식량 안전 보장 영양과 취약성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5 이하의 부룬디 어린이들 81 6214명이 만성적인 영양 결핍에 시달리고 있으며, 33 2098명은 심각한 상태에 다다랐다고 한다. 추가로, 7 9453 명의 아이들은 극심한 영양 결핍을 겪고 있으며 극심한 사례는 1 2197 건에 달한다고 한다.

가스톤 은케시마나(Gaston Nkeshimana) WFP 영양 프로그램 담당자의 말에 의하면 영양실조는 다량 영양소에서 지방이나 탄수화물과 같은 식사영양에너지를 과도하게 섭취한 경우 또한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한다. , 영양실조는 또한 비만 문제를 포함하 있는 개념이다.

WFP에서 실시한 관련 조사를 살펴보면 국가의 식량 안보를 결정짓는 데에는 특정 요인들이 있음을 있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 요인들로는 인구증가율이나 일반 농가 소유한 땅의 면적(평균 0,52 헥타르), 농지의 과잉이용, 토지 비옥도의 하락 정도, 낮은 비료 사용(평균 28%), 풍부한 수자원 활용하지 못한 불충분한 관개(2011, 전체 농지의 3% 만이 관개용수를 공급받음) 그리고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가구 구매력 감소 등을 있다.

단언컨대 부룬디는 굶주리고 있다” – 오데뜨 카이테시 부룬디 농림부 장관

부룬디 정부도 온갖 노력을 해오고 있다. 전략적인 성장 모델과 기아 퇴치 운동을 통해 식량 안보와 영양에 관한 문제를 정치계의 주요 안건으로 다루고 있다. 2013 6 런던에서는 부룬디를 포함한 각국의 정치 지도자들, 자선 사업가들, 경제인들의 모여 성장 협약을 위한 글로벌 영양 공급 체결했다. 2017년까지 만성 영양 결핍에 시달리는 어린이의 비중을 58%에서 48% 조정하는 또한 런던에서 협의되었다.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부룬디 내에 영양 관리 중재 프로그램 도입이 시급하다.

하지만 부룬디 영양 결핍을 비롯한 기아 문제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피에르 은쿠룬지자(Pierre Nkurunziza) 대통령은 9 부룬디 프랑에 달하는 농업 부문 예산을 다가오는 대선 준비 자금으로 쓰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원성이 자자해지자 오데뜨 카이테시(Odette Kayitesi) 농림부 장관은 "문제시되는 예산 금액이 정부의 총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적다고 지적하면서 부룬디가 세계 기아 지수(GHI)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받은 것의 책임을 이번 예산 철회와 연관 지어 생각해서는 된다"고 말했다. 덧붙여 오데뜨 장관은 부룬디 국민들은 실로 가난하여 직접 재배한 것이 아니면 돈이 없을 정도로 구매력이 약하다라고 말했다.

오데뜨 장관은 관광 수익마저도 서민들에게 돌아가지 않고 있고, 실업률은 계속 올라가고 있다는 말과 함께 정부가 사회 문제를 근본적으로 파고 들지 않았기에 여러 부문에서 빈곤이 대물림 되고 있다는 평가를 내렸다.

 

 

translated by. Ten for One Supporters 1기 전주현

기사 원문 링크: http://allafrica.com/stories/201410270955.html

댓글